SERVER HEALTH CHECK: OK
2
프라임차한잔
자동
ID/PW 찾기 회원가입

[시사]  의사들의 비인기과 문제는 단순히 의사를 늘려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긴 하죠.

 
2
  962
Updated at 2022-09-30 20:32:11

 보통 예과 2년 + 본과 4년 거쳐서 국가고시 보고 나서 인턴/레지던트 기간까지 4~5년 거치면 

최소 10년이죠. 거기에 남자는 군의관 or 공보의 등으로 3년까지 더해야 하니...
전문의 하나 나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생각하면 의사들도 ROI를 생각을 안 할 수가 없죠. 
힘든 일을 하면 금전적으로나 나중에 인사 고과로나 인센티브를 줘야 하는 것은 만고불변의 진리인데
이건 비인기과 전문의 타이틀을 살릴 자리가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죠. 막말로 전문의 타이틀을 땃는데
그 타이틀을 못 살릴 것 같으면 그거 자체가 본인에게는 손해라는 거죠. 
앞으로가 문제일 겁니다. 완전한 공공의료(영국식)로 갈 것인가, 아니면 완전한 민영화(미국식)으로 갈 것인가라는 양갈래 선택지 중에서 골라야 만 하는 순간이 생각보다 빨리 올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의료 관련 뉴스가 나올 때 찾아보는 키워드 중 하나가 "총액계약제"입니다. 이거 이야기가 나올 정도면 사실상 건보 재정으로는 더이상 답이 없다고 생각할 때 꺼내드는 타이틀이니까요. 그만큼 의료계 전체에서도 뜨거운 감자이기도 합니다. 사전에 책정된 1년 예산으로 나눠먹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되니까요. 

21
Comments
2022-09-30 21:11:28

 뭔가....

의사라는 직업군이 다른 직업군과 근본적인 차이점은 없어요.

다른 직업군도 정원을 통제하면 비인기분야는 부족하게 됩니다.

기간이 오래걸린다지만, 자격시험에서 경쟁,도태시켜도 됩니다.

국가정책을 흔들 수 있는 힘이 있는 것이고, 그 외는 다른 직업군과 같아요. 

WR
2022-09-30 22:17:40

아뇨, 의사는 다른 전문직종과는 결정적으로 다른 부분이 하나 있어요.
재화의 가격을 국가가 매긴다는 점에서는 법조 시장 등 다른 전문직 직종과 구분이 되거든요.
법조 시장에서는 대법관 같은 고위직 전관 출신과 서초동 막변의 수임료가 같다는 것이 상상할 수 없는 일이지 않습니까?

Updated at 2022-09-30 22:28:28

가격을 국가가 매긴다는 점에서, 택시기사와 똑같네요.

 

모든 직종은 특수한 점이 있어요.

그런 얘기를 한다면 끝이 없어요.

모든 직종군과 구분을 하여야 할 다른 무엇이 있는가 하는 거예요.

WR
2022-09-30 22:36:31

대한민국의 모든 병/의원은 건강보험에 연결되어 있는 당연지정제입니다.
택시요금을 국가 예산으로 운영하지는 않잖아요.
엄밀히 말하면 심평원에 의료 행위에 대하여 비용을 받는 구조인데요. 의료행위에 대한 비용을 환자에게서 100% 바로 받는 구조가 아닙니다. 심평원의 삭감 문제가 왜 문제가 되는데요.

2022-09-30 22:56:07

윗 댓글이,

정원을 늘리면 안 되는 이유가 아니잖아요.

정원을 늘리면 현 보험료로 파산하나요 ?

정원을 늘리면, 일부 늘어날 수도 있지만, 정원비율대로 보험료가 늘어나나요 ?

 

WR
2022-09-30 23:01:18

의사가 수요를 창출한다는 점에서는 건강보험 재정을 신경을 안 쓸 수가 없죠.

2022-09-30 23:12:32

그건, 의료보험 대상이 아니잖아요.

또한,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지 않는 직종은 없어요.

그것이 정비례가 아닐뿐....

WR
2022-09-30 23:21:16

그게 건보 재정하고 연결이 되니까 문제죠.
차라리 미국처럼 완전히 민영화 된 시장이면 오히려 문제가 안 될 겁니다.

WR
Updated at 2022-09-30 22:39:28

그리고 택시기사는 사회적 통념에서도 그렇고, 법적인 측면에서도 전문직은 아니죠.
저는 분명히 "전문직"이라는 카테고리를 지정한 상태에서 이야기했습니다.

2022-09-30 21:38:23

얘기를 살짝 돌려서, 교육 쪽으로 보자면 현직 교사들이 지방분교 같은 곳은 가지 않으려고 하죠. 그런 TO를 예를 들어, 10년 의무 근무 조건 같이해서 따로 뽑았으면 합니다.

 

본문 얘기로 돌아가서, 의료 쪽에 대입하면 비인기과 전공을 아예 따로 뽑던지, 말만 나오다 거의 좌절된 것으로 보이지만(?) 공공의대를 만들어서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고 보입니다.

 

공공의대는 순수한 공공의대가 있겠고, 군(軍)이 추진하던 군 자체 의대의 신설이 있을 수 있을텐데요. 뭐가 되었던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WR
2022-09-30 22:21:15

이거 이전에도 했는데 이미 완전히 실패했습니다. 사관학교 생도들을 의대에 위탁교육을 시켰는데
거의 그냥 위약금 내고 나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아니 막말로 나와서 버는 돈이 위약금보다
훨씬 큰데...

2022-09-30 23:21:00

의대 위탁교육이 실패한건 저도 알지요.
위탁교육과 직영(?)은 아무래도 다르지 않겠습니까?

물론 공사 출신 조종사들 마냥 의무복무 채우고 나갈 가능성이 높겠지요.

단, 제 의견은 해당 전공 의사수가 부족한 과를 주대상으로 하는 겁니다.

이들이 사회로 컴백하더라도 일정 수의 해당 과 의사는 존재하게 되는 구조를 만들자는 거지요.

WR
2022-09-30 23:23:17

해당 과 의사가 있어도 그 과 의사로 일할 자리가 민간에 있어야 의의가 있죠.
보통 비인기과 같은 경우는 1차 의원 급에서는 하기 어려운 과들이 상당수거든요.
그렇다면 2/3차 병원에서 이들을 채용해 줘야 한다는 건데, 안 그래도 적자 나는 상황에서 인건비를 절감하지는 못할 망정 늘리는 경영자가 있긴 할까요?

Updated at 2022-09-30 23:33:50

그렇죠. 답을 정확히 아시네요. 다찌마와리님이 주장하시는 상황이 되면 사회로 안나오겠죠.

2022-09-30 22:34:00

모든 의사가 같은 수준의 공부를 할 필요가 없이,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술사처럼,

또는 초급, 중급, 고급, 특급처럼,

일의 필요성, 중요도, 기술력 등을 나누어서

의사도 급을 나누어서 직류를 조정하는 것도 괜찮을 듯 한데,

세계적으로 사례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WR
2022-09-30 22:37:38

엄밀히 말하면 의대 6년 마치고 국가고시를 합격하면 "일반의"로서의 의료행위는 가능합니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의료행위가 "일반의" 신분에서도 가능해요.

Updated at 2022-09-30 21:44:39

인원 늘리면 다 해결됩니다.
자본주의, 시장 수요공급에서 벗어날수 없습니다.

WR
2022-09-30 22:18:42

인원을 늘려도 비인기과 자리를 더 투자할 수도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죠.

2022-09-30 22:40:03

투자를 한다는게 무슨 의미죠?
비인기과에 안가려고 해서 문제 아닌가요?
인원 넘치면 어디든 다 들어갑니다.

WR
2022-09-30 22:43:07

비인기과는 기본적으로 적자가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병원에서도 투자를 거의 안 하거나 최소한의 투자만 하죠. 인건비도 투자죠. 더군다나 비인기과 전공 상당수가 2차/3차 병원을 끼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2022-10-01 08:33:01

단순히 의사 늘려서 해결하려는건 아니라고 봤는데요.

 
글쓰기
SERVER HEALTH CHECK: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