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HEALTH CHECK: OK
1
못웃기면맞는다
2
못웃기면맞는다
자동
ID/PW 찾기 회원가입

[영게]  신경미학으로 알아본 미의 기준

 
3
  1343
Updated at 2023-06-10 18:32:18

 신경미학적 미에 대한 모델링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에 대한 모델신경미학적 연구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이 뇌를 통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하고자 하므로, 미학 영역에서 제시되고 있는 모델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탐구하여야 한다. 이들 중 Leder 17)이 제시한 것이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그림 2).첫 단계는 지각적 분석(perceptual analyses)이다. 이 단계에는 기초적 시각 과정 처리와 관계되는데, 대조(constast), 복잡성(complexity), 색깔(color), 대칭성(symmetry), 집단화(grouping) 등의 여러 요소들이 매우 빨리 파악되는 무의식적단계이다.

 

두 번째는 암묵적 기억의 통합(implicit memory integration) 단계이다. 암묵적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단계역시 의식화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중요한 것으로 우선 작품의 친숙성(familiarity), 전형성(prototypicality)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속성도 중요할 수 있다.예를 들어 바티칸 미술관의 의 라오콘 상은 지나치게 상체가 뒤틀려 있으며 손과 다리도 매우커 실제 인체 비례와 전혀 맞지 않지만 오히려 처절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대표적 조각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어떤 특정 요소의 과장 및 왜곡을 피크 이동(peak shifting)’이라고 한다. 신경과학자인 RamachandranRogers-Ramachandran18)은 예술 작품의 피크 이동 효과를 미적 체험을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였다.

 

세 번째는 명시적 분류(explicit classification) 단계이다. 이단계부터는 의식적으로 진행되며 감상자가 작품을 숙고하게된다(deliberate state). 또한 자신의 미적 경험에 대하여 보다 쉽게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단계이다. 작품과 관련된 감상자의 사전 지식을 이용하게 되며, 작품이 담고자 하는내용(contents) 및 작품의 스타일(style)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Cupchic19)은 추상적 표현 등을 포함하는 모던 아트(modern art)에 대한 감상자의 미적 평가에서는 작품의 스타일에대한 감상자의 사전 지식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네 번째는 인지적 마스터 및 평가(cognitive mastering andevaluation) 단계이다. 일종의 피드백 단계로, 모든 단계를 거치면서 작품에 대해 만족할 만한 이해를 얻었을 수도 있고때로는 작품이 모호하다 하더라도 모호성(ambiguity) 수준이감상자가 잘 견뎌낼 만한 수준에 머무르게 될 수도 있다. 만약이 단계에서 작품에 대한 이해에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서 다시 재경험, 재평가를 반복하기도 한다.마지막으로 정서적/감정적 정보처리 과정(affective andemotional processing)이 있다

그림 2에도 묘사되어 있지만이는 분리된 단계 단계이든 숙고의 단계이든 매 단계에서 미적 정서 상태가 영향을 받으며,이전 단계에서의 정서 상태가 다음 단계의 정서 상태에서바뀌는 경우도 있다.

(Csikszentmihalyi20)는 이같은 지속적인 정서 처리과정을 미적 경험에서의 흐름의 경험(the experienceof flow)’이라고 표현하였다. 그에 의하면, 긍정적 정서의 흐름이 잘 유지되는 경우 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도 보다 긍정적으로 이루어진다.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 최종 결과물이 미적 판단(aesthetic judgement)’미적 감정(aesthetic emotion)’이다.

 

관련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6237

 

결론: 미를 판단하고 느끼는 과정의 기초단계에서 정형화된 기준의 일종 변형은 있을지언정 보편적으로 미를 느끼고 긍정적 미적감정을 이끌어내는 작품들에는 적용되는 규칙들이 존재합니다. 

시대와 패러다임이 바뀐다고 해서 넓은 의미에서 포용할수 있는 미의 정의는 공동체가 만들어낸 일종의 규범일 뿐이고 실제로 느끼고, 감정을 이끌어내는 뇌의 안와전두엽등의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종의 무의식적영역이자 신경학적 영역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러니 시대의 다양성에서 나타나는 많은 형태의 미에도 정형화된 틀 (황금비율)등이 존재한다고 할수있습니다, 이를 부인하고 부정하는 것은 허영심일 뿐이고 실상 모두 유사한 형태의 작품을보고 유사한 감정반응을 이끌어 낼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의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인어공주의 캐스팅을 보고 부정적인 감각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할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비판은 현대사회라는 문명의 틀에서 지켜야할 일종의 

규칙이기에 이또한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평가를 한 사람들을 보고 단순히 인종차별주의자에 외모지상주의자로 분류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생각합니다.

어찌보면 유사한 미적감정을 받고 이를 부정한체 긍정적인 반응을 마치 당연하다고 응호하고 부정적인 평가를 외모지상주의자 또는 인종차별주의자로 간주하는것은 지적허영심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2
Comments
1
2023-06-10 18:18:11

2023-06-10 19:04:12

어렵군요. 그냥 각자의 취향이 있는 걸로 ㅎㅎ

 
24-04-24
 
399
글쓰기
SERVER HEALTH CHECK: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