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HEALTH CHECK: OK
2
못웃기면맞는다
ID/PW 찾기 회원가입

[디스플레이]  더함 UA431QLED 리뷰 | 'Google TV' 적용된 더함의 23년형 QLED TV

 
3
  7166
2023-01-13 13:38:32

글 / 사진 / 동영상 : DP 컨텐츠팀 (park@dvdprime.com)

 

'Google TV' 적용된 더함의 23년형 QLED TV

국내 중기 TV 브랜드 중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는 '더함'에서 2023년형 스마트 TV가 출시되었다.

 

'더함'은 여타 중기 TV 브랜드가 소리소문없이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치열한 TV 시장에서, 특별한 부침없이 꿋꿋하게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당히 안정적인 제조/유통사다. (참고로 DP에서 처음 더함 TV 리뷰를 시작한 시점이 2017년인데, 이후 매년 신제품이 출시되고있으며 해마다 리뷰를 진행해 오고 있다.)

 

오늘 소개할 모델은 43형 QLED 패널을 사용한 제품으로, 

풀 모델명은 '더함 43인치 퀀텀닷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TV UA431QLED'이다. (이하 'UA431QLED')

 

전체 모델명만 보면 핵심 정체성이 확 와닿지는 않는데, 아무래도 일반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소구점을 찾아 작명하다보니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23년형인 UA431QLED이 기존 모델들과 비교할 때 가장 크게 차이나는 부분은 운영체제가 'Google TV'라는 점이다. (이하 '구글 TV')

 

현재 삼성, LG를 제외한 스마트 TV의 운영체제의 대세는 '안드로이드 TV'다. 

UA431QLED는 안드로이드 TV가 아닌 '구글 TV'를 운영체제로 채택했다.

'구글 TV'는 구글 크롬캐스트 시리즈를 통해 이미 접해보신 분들이 꽤 있으리라 생각한다.

 

운영체제로서 구글 TV와 안드로이드 TV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아래 '주요 특성 설명' 섹션에서 좀 더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운영체제 외 주요 특징으로는

  • 퀀텀닷 기반의 VA RGB 패널 채용
  • 돌비 비전 / 돌비 애트모스 인증
  • HDMI 2.1 인증
  • 사운드에 dbx-tv 음향 효과 적용

등이 있다.

 

최대 밝기가 400니트로 상승한 부분만 제외하면, UA431QLED는 DP에서 리뷰한 적이 있는 더함 우버 AMG 시리즈와 스펙이 상당히 유사하다. 우버 AMG 시리즈는 준수한 화질과 높은 가성비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모델이다.

 

즉, UA431QLED는 기존에 좋은 평가를 받았던 하드웨어적 구성을 바탕으로 운영체제를 안드로이드 TV에서 구글 TV로 교체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참고] 2023년 더함 TV 시리즈 라인업 분류

1. 기어 시리즈 (4K/120Hz 지원 게이밍 TV)

2. 구글 TV 시리즈 (2023년형)

3. 안드로이드 TV 시리즈

4. 코스모 시리즈 (운영체제 제외된 저가형)

디자인부터 시작해, 주요 특성, 실제 영상, 결론, 초보 FAQ 순으로 본 리뷰를 진행할 예정인데, 운영체제에 변화가 있는만큼, 이번 리뷰에서는 변경된 메뉴와 UI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 예정이다.

 

디자인

최근 출시되는 TV들은 베젤이 극도로 얇기 때문에 디자인적 차별화가 쉽지 않다. 베젤의 컬러/두께와 스탠드 형태를 통해 디자인의 차별화가 가능하다.

 

UA431QLED 역시 베젤리스(Bezel-Less) 타입으로 제로 베젤까지는 아니지만 화면 상단과 화면 좌우 베젤 두께가 1.2mm 밖에 되지 않아 화면 몰입도가 높다.

 

하단 베젤의 두께는 15.4mm 이며 컬러는 메탈릭 청록색이다. 더함 TV 시리즈는 하단 베젤의 컬러를 통해 시리즈를 구분하고 있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TV 시리즈는 '셀룰리안 블루'이고, 코스모 TV 시리즈는 '블랙'이다.  

 

TV 두께가 얇지는 않다. 두께가 얇아지면 보기에 근사하고 벽걸이 설치가 용이하지만, 울림통이 작아져 사운드가 얇아지는 단점이 있다. 

 

UA431QLED는 두툼한 하방에 공간을 만들어 사운드를 보강하고 있다. 물리적인 울림통의 크기를 늘렸을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돌비 애트모스와 dbx-tv를 지원하여 기본적인 사운드 퀄리티를 높이고 있다.


크기는 43인치형이다. 

이제 LCD 디스플레이들의 사이즈가 커지면서 43인치형은 거실용이라기 보다는, 침실이나 서재용 보조 디스플레이나 PC 모니터로서 어울리는 크기다. 거실에서 사용해서 안될 이유는 없지만 요즘 디스플레이 기기들의 평균 크기를 감안하면 체감적으로 작게 느껴지기는 게 사실이다.

리모컨은 평범하지만 자주 사용할만한 주요 버튼을 잘 배치해 놓고 있다. 스마트 TV답게 넷플릭스,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비디오 등의 플레이 버튼이 중앙에 독립되어 있어, 시청자가 대표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 놓았다.  

 

UA431QLED - 주요 특성 알아보기

패널 - VA RGB

TV에 있어 화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패널이다. UA431QLED는 대만 INNOLUX사가 제조한 VA RGB 패널을 채용했다. 


일반적으로 VA 패널은 IPS 패널과 비교하여 색재현율과 명암 계조가 좋지만, 상대적으로 시야각이 좁고 응답속도가 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LCD 기술이 거의 정점에 이르면서 저가형이 아닌 고급 패널의 경우에는 여러 보완 기술을 사용하여 패널들 간의 간극을 메꾸고 있기는 하지만 각 패널의 원천적인 구조상 각 패널 특성이 아무래도 드러난다.

 

VA 패널은 컬러와 명암비, 계조가 좋기 때문에 게임보다는 영화나 드라마 재생에서 좀 더 강점이 드러난다.

 

※ 퀀텀닷 패널, 즉 QLED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한 분들은 아래 섹션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참고] QLED 그리고 퀀텀닷 (Quantum Dots, 양자점)

 

현재 일반 가정용 평판 TV 패널은 단 두 종류만 존재한다. 

  • LCD
  • OLED

 

(※ 현재는 가격이 너무 높아 일반 가정용 패널로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면 여기에 삼성의 마이크로 LED 패널이 합류할 가능성이 있다.) 

 

LED는 LCD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의 한 종류로 초창기 CCFL(냉음극형광램프)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로 변경되면서 LED TV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LCD는 자발광체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백라이트가 필요하다.

 

 

백라이트는 위 그림처럼 스테인드 글라스와 같은 원리로, 컬러와 명암이 적용된 픽셀(LCD)에 빛을 투과시켜(LED 백라이트)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번에는 퀀텀닷(양자점)에 대해 알아보자. 

퀀텀닷이란 물질의 크기가 나노미터 수준으로 줄어들 경우 전기·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반도체 나노 입자이며 나노 미터, 즉 십억분의일 미터 수준으로 입자가 작아지면 에너지 변위에 따라 특정 빛을 발산하는 성질을 가진다. 하나의 양자점은 하나의 색을 방출하는데, 재미있는 사실은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빛의 색이 바뀐다는 점이다.

 

나노미터가 얼마나 작은 단위냐 하면 2nm의 경우 원자 15개 정도가 모인 크기다. (7nm의 레드는 원자 150개 수준) 대표적으로 2nm에서는 Blue(청), 3nm에서는 Green(녹), 7nm에서 Red(적) 컬러를 방출한다.

 

▲ (좌) LED-LCD 패널 / (우) QLED 패널

 

QLED란 한 마디로 청색 LED 백라이트에 적/녹의 퀀텀닷 필름을 각각 부착한 형태의 백라이트 유닛을 의미한다.

 

양자점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제일 작은 크기(2nm)의 청색 양자점은 (우측 그림 맨 뒤에 보이는) 백색대신 청색 LED 백라이트 유닛으로 대체하고, 여기에 적/녹 양자점 필름을 부착한다. 즉, 기존 LCD의 BLU는 그냥(?) 화이트지만, QLED는 청색 백라이트 유닛에 녹색 퀀텀닷 필름(Green Quantum Dot Film)과 적색 퀀텀닷 필름을 부착하여 순도 높은 화이트 컬러의 백라이트를 만들어 내는 QDEF (Quantum Dot Enhancement Film) 방식이다. 

 

QDEF 방식 외에도 LCD의 컬러 필터 자체를 퀀텀닷으로 구성하는 QDCF 방식, 청색 OLED와 적/녹 퀀텀닷을 결합한 QD-OLED 방식 등 보다 발전된 QD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가전사들은 계속 연구개발 중이다.   

운영체제 - 구글 TV (Google TV)

서두에서 설명한대로 기존 더함 TV 시리즈와 2023년형 UA431QLED가 차별화되는 부분은 운영체제다.

운영체제로서 구글 TV는 'Chromecast with Google TV'라는 스트리밍 미디어 동글을 통해 이미 적지 않은 분들이 접해보셨을 것이다. UA431QLED의 운영체제인 구글 TV는 바로 크롬캐스트에서 접해본 운영체제를 TV 버전으로 이식했다고 보면 된다. 물론 완전히 똑같지는 않고 TV 제조사와 모델 특성에 따라 세부 메뉴에 차이가 있다.

 

그럼 운영체제로서 구글 TV와 안드로이드 TV 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 (위) 구글 TV 홈 / (아래) 안드로이드 TV 홈 - 구글 TV의 경우 앱이 아닌 추천 컨텐츠가 첫 줄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안드로이드 TV는 설치된 앱들이 첫 줄에 배치되어 있다. 사소한 차이기는 하지만, 운영체제가 추구하는 중심 개념을 나타내는 방증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구글 TV는 사용자 취향을 중심으로 한 컨텐츠 추천(개인화)이 핵심이고, 안드로이드는 설치된 스트리밍 앱을 중심에 놓고 추천이 이루어 지고 있다. 

 

▲ 구글 TV는 안드로이드 TV와 달리, 하나의 아이디에 여러 개의 프로필 추가도 가능하며, 프로필에 자녀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맨처음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는 차이점은 홈 UI의 변경이다. 이외에는 겉으로 바로 드러나는 차이점이 거의 없다. 

 

두 운영체제 모두 구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크롬캐스트, 스마트 홈 콘트롤을 모두 공통적으로 지원한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구 분 구글 TV  안드로이드 TV 
중심 컨셉 사용자  설치된 앱 
검색 및 추천  전체 스트리밍 서비스 대상 
(AI 알고리듬이 개인 취향 분석) 
설치된 앱 한정
프로필 생성 하나의 아이디에 복수 프로필 생성 가능   사용자 별로 별도 계정 필요
자녀 보호 기능
(Parental Conntrol)
프로필 별 설정 가능   전체 시스템 설정을 통해 가능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구글 AI가 개인 취향을 분석하여 설치하지 않은 스트미링 서비스까지 검색하여 메인 화면에서 이용자에게 컨텐츠를 추천해 주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필자의 경우 가입 경험은 있으나 현재 가입 상태가 아닌 '웨이브', '디즈니 플러스' 등의 컨텐츠를 메인 화면에서 추천 받았다. 사용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내부 알고리듬을 통해 추천 컨텐츠의 정확도가 높아질 것이다.

 

 

개인화에 집중하는 구글 TV 운영체제의 특성이 이용자에 따라서는 생소하거나 거북함을 느낄 수도 있겠으나, 큰 틀에서 보면 스마트 TV OS는 서서히 안드로이드 TV에서 구글 TV로 이동하고 있는 중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보안이라는 측면에서도 구글 TV OS가 좀 더 안정적이라 평가받고 있다. 다만, 현재 안드로이드 TV OS 역시 계속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며 꾸준히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중이어서 구글에서 개발한 이 두 개의 TV OS는 상당 기간 공존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현재 구글 TV를 운영체제로 채택한 대표적인 TV 제조사는 소니 (상위 모델), TCL, 필립스, 하이센스 등이다. 

 

내부 프로세서 MT6912

 

운영체제 자체도 중요하지만 스마트 TV인만큼 이를 구동하는 내부 프로세서와의 궁합도 중요하다.

더함 UA431QLED는 입문형 TV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텍의 MT9602가 아닌 한 단계 상위 프로세서인 MT9612가 적용되어 있다. MT9612와 결합된 구글 TV OS는 리모컨 버튼에 빠릿빠릿하게 반응하고 있어 메뉴 네비게이팅이 매우 쾌적하다.

 

https://support.google.com/googletv/thread/176196041/improving-your-google-tv-experience?hl=en

 

체감적으로 구글 TV OS는 안드로이드 TV OS보다 가벼운 데다가, 실제 구글에서도 구글 TV의 최적화를 통해 시동 및 앱 구동 속도를 높이고 있다는 공식 공지가 있었다.


영상 모드

화면 모드(영상 모드)는 일반적이다. 표준부터 전원절약까지 총 6개의 영상 프리셋을 제공하고 있다.

각 모드마다 개성이 확실하며 컨텐츠 종류에 맞춰 설정하면 된다. 기본 컬러 튜닝도 괜찮은 편이라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특별한 세팅 값을 찾을 필요가 없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더함에서 출시하는 대부분의 TV는 백라이트 디폴트값이 3~5로 설정되어 있다. 반드시 백라이트를 50 이상으로 설정해야 일반적인 조명 환경에서 제대로 된 화면을 볼 수 있다.

 

돌비 비전 지원 / 돌비 애트모스 인증

UA431QLED는 HDR 10은 물론 돌비 비전과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한다. 

최대 밝기 400니트라 피크 휘도에서 강렬한 느낌까지는 주지 못하고 있지만, 퀀텀닷 패널과 BT. 2020의 확장된 색역을 바탕으로 컬러 톤매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4K UHD 블루레이나 넷플릭스 돌비 비전 지원 컨텐츠에서 만족스러운 화질로 시청이 가능하다.

 

참고로 TV에서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한다는 의미는 TV 자체에서 11.2채널을 지원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TV 자체에서 멀티 채널을 지원하지는 않지만, TV에서 ARC나 eARC를 통해 신호를 패스쓰루하여 멀티 채널 구현이 가능한 사운드바나 AV앰프로 연결하면 멀티 채널 구현이 가능하다. UA431QLED는 eARC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멀티 채널 구현 오디오 기기가 있다면 이와 연결하여 돌비 애트모스를 즐길 수 있다.

 

dbx-tv가 적용된 사운드 

TV를 외부 오디오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있지만 아무래도 TV 방송 시청 시에는 자체 스피커를 통해 간편하게 시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UA431QLED는 dbx-tv라는 내부 프로세싱을 통해 TV 출력 사운드의 품질을 극대화하고 있다.

dbx-tv란 저음과 고음, 서라운드 등을 통합적으로 개선한 TV 음향 기술이다. TV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커와 오디오 DSP를 최대한 활용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음질을 개선하고 있다. 

 

UA431QLED에서는 두 개의 12W 출력 스피커와 dbx-tv 음향 기술이 결합하여 일반적인 TV 사운드보다는 훨씬 더 좋은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지원 모드는 영화, 음악, 뉴스, 늦은밤 등이다. 

(※ 이에 대한 데모 동영상은 아래 '재생 영상 직접 촬영 이미지' 섹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DMI 2.1 인증

UA431QLED는 eARC, ALLM, VRR 등을 지원하여 공식적으로 HDMI 2.1 인증을 받기는 했지만, HDMI 대역폭이 18Gbps이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UA431QLED가 게이밍 특화 TV는 아니기 때문에 4K / 120Hz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실 48Gbps라는 풀스펙이 의미는 없지만 어쨌든 UA431QLED에서 HDMI 2.1 인증이 48Gbps 대역폭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은 알고 넘어가야 한다.

 

(더함 TV 시리즈에서 HDMI 2.1 인증 + 4K / 120Hz 지원하는 라인업은 '우버 기어' 시리즈다. XBX나 PS5에서 게이밍 성능을 최대로 이끌어 내려면 더함 우버 기어 TV 시리즈를 선택해야 한다.)

 

[참고]

  • eARC: 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ARC란 HDMI 단자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며, eARC는 ARC에서 대역폭이 확대되어 돌비 애트모스나 DTS:X 신호까지 전송할 수 있다. 
  • ALLM: Auto Low Latency Mode. 플레이어부터 중계 기기까지 영상 신호에 관여하는 모든 기기가 영상 신호 관련 프로세싱을 최대한 배제하여, 신호 딜레이 없는 영상 플레이(low-latency, low-lag mode for gaming)를 목표로 하는 기능
  • VRR: Variable Refresh Rates. 가변 재생 빈도 기능을 뜻하며, 지원하는 기기와 디스플레이 간의 재생 빈도를 동기화한다. 화면 테어링 등 게임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원천 배제할 수 있는 것이 장점 

 

후면 단자 

 

우버 AMG 시리즈는 연결 단자가 후면 좌측에 모두 위치하고 있었는데, 이번 시리즈에서는 좌측과 하방으로 분리되었다.

주요 입출력 단자는 후면 좌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eARC를 지원하는 HDMI 1 역시 좌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HDMI 2번과 3번 단자, 그리고 LAN 단자는 후면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스펙 테이블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하나의 테이블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재생 영상 직접 촬영 이미지

※ 본 리뷰에서 제공하는 직접 촬영 이미지는 프로젝터 영상의 전반적인 경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에 용이하지만, 몇 가지 기술적 한계로 인해 두 눈으로 보는 것과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HDR 컨텐츠들의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가 담을 수 있는 밝기와 색역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직촬 사진 하단의 설명을 반드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글 TV OS 메뉴

운영체제에 변화가 있는만큼 구글 TV의 UI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기로 하자.

 

리모컨 우측에 있는 설정(기어 아이콘) 버튼을 누르면 화면 우측에 전체 설정 메뉴가 오버레이된다.

메뉴 하단에 위치한 '오늘의 유용한 정보'를 통해 매일 새로운 사용 팁을 전달해 고고 있으며 실제로도 꽤 유용하다. 

 

전체 설정 메뉴다. 

설치 초창기 네트워크와 계정, 개인 정보, 앱을 설정 완료한 후에는 대부분 화면 설정 & 음향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 취향에 맞는 영상과 음향을 조정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영상 모드의 백라이트의 디폴트값이 3~5 사이로 설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매우 어둡다. 영상 모드를 처음 설정할 때는 백라이트가 5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주변 환경이 밝다면 90 이상으로 조정해도 큰 무리는 없다.

 

 

사운드 메뉴는 안드로이드 TV OS보다 상대적으로 단순화되어 있다. 출력 사운드에 있어서 dbx-tv 효과는 적용 여부가 하늘과 땅 차이이므로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아래 dbx-tv 사운드 실제 데모 동영상 참조) 

 

고급 설정에서도 상당히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 디폴트 설정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화질에 좀 더 욕심을 내고자 한다면 매뉴얼을 참조하여 일일이 적용하면서 본인에게 맞는 최적값을 찾아야 한다.

 

대부분 이해가 가능한 옵션들인데, 다소 이해가 어려운 옵션이 두 가지 있다. '디카운터'와 'MJC'다.

 

디카운터는 후광 제거 기능이라고 하는데 배경 화면의 휘도가 높을 경우 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적용해도 대부분의 장면에서 큰 차이를 느끼기는 힘들다. 

 

MJC는 Motion Judder Cancelation의 약자로 추정되는데 홈페이지에서는 MEMC로 꾸준히 소개하고 있어 헷갈린다.

MEMC는 Motion Estimation/Motion Compensation의 약자로, 동작 예측 및 동작 보정 기술, 좀 더 쉽게 말해 프레임 보간 기술이다. 

 

MJC 데모 기능도 있어 실제 영상을 재생하면서 MJC 수준을 낮음 / 중간 / 높음으로 조정할 수 있다.

 

고급 설정 맨 마지막에 있는 색상 튜너와 11포인트 화이트 밸런스 보정은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툴이 필요한 기능이므로 일반 소비자들은 설정된 디폴트값을 재미로라도 수정을 하지 않는 게 좋다.

 

메뉴 전체적인 UI와 카테고리는 변경되었지만 세부 메뉴까지 들어가면 기존 안드로이드 TV와 유사하다. 앞서 언급한대로 구글 TV는 안드로이드 TV의 새로운 버전이라기 보다는 핵심 개념을 '개인화'로 변경한 운영체제로 평가된다. 다만 눈에 보이지 않는 장점들 예컨대, 구글 TV OS가 반응 속도나 보안 측면에서 조금 더 강점이 있으므로, 극단적으로 말해 구글 TV OS, 안드로이드 TV OS 둘 중 하나를 반드시 선택해야 한다면 대부분 구글 TV의 손을 들어줄 것이다.

 

디지털 TV 방송

 

 

 

 

 

디지털 TV 방송은 방송국/컨텐츠 별로 화질 편차가 심하기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보이는 인물들의 피부톤이나 스포츠 경기에서 보이는 잔디의 컬러를 통해 컬러 튜닝이 얼마나 잘 되었는지 직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기존 우버 AMG와 같은 패널과 하드웨어 성능을 공유하고 있는만큼 화질에서 별다른 변화를 찾기는 힘들다. 퀀텀닷 패널 초창기에는 넓어진 색역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한때 컬러의 적확성에 문제가 있는 시기도 있었으나, 현재는 안정화되어 상당히 좋은 색감을 내고 있다. 한 마디로 특별한 설정 없이도 디지털 TV를 시청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자체 앱을 통한 4K HDR 영상 재생

 

 

VA 패널을 사용한 UA431QLED는 HDR에서 컬러 톤매핑이 잘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암부 계조 표현력이 좋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면에서 정보 전달력이 우수하다.

 

블랙 레벨은 IPS 패널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대신 계조 표현력이 좋다. IPS 패널 중에서는 블랙 레벨이 낮지만 대신 암부 계조가 지나치게 뭉치는 제품들이 꽤 있다.

 

 


HDR의 일반적인 장면들은 백라이트를 90 이상으로 설정한 SDR 영상보다 어두울 수 있다. 왜냐하면 HDR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 백라이트 수준을 50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HDR 피크 휘도 표현력은 만족스럽지는 않다. 저가형 TV에서 HDR에 과도한 기대를 하는 것 같아 좀 미안하기는 하지만 HDR 혹은 돌비 비전 지원 영상들은 컬러 톤매핑이 평균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 정도에서 만족해야 한다.

 

자체 앱을 통한 4K SDR 영상 재생

 

 

 

 

SDR 영상은 밝기와 컬러 표현력에서 특별히 흠 잡을데 없다. 

 

실제 재생 영상 직촬

https://youtu.be/n4UU4xl9DEk

위 스틸 이미지에 더해 재생 영상을 직접 촬영한 동영상을 첨부한다. 실제와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화질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XBOX 시리즈 X (XBX) 연결

XBX에서 세부 정보를 체크해 보면 4K / 120Hz 미지원 외에는 돌비 비전 지원까지 모든 항목에서 OK이다.

 

돌비 비전 지원 게임을 실행하면 양쪽 상단에 돌비 비전 로고가 표시된다. 좌측 정보에 더해 외부 HDMI 연결할 경우에는 우측에 추가로 정보 표시가 더해진다.

 

돌비 비전 컨텐츠에서는 3가지로 화면 설정이 가능하다.

 

 

 

 

 

 

일반 HDR/돌비 비전 영상과 마찬가지로 게임 플레이에서도 블랙 레벨에 아쉬움이 남지만 높은 수준의 계조 표현력이 이런 단점을 상쇄해 주고 있다.

 

PC 모니터로서의 UA431QLED 

리뷰한 모델이 43인치형이고 최근에 43인치형을 PC 모니터로 이용해 보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으므로 이 부분도 테스트해 보았다.

 

PC를 연결하면 고급설정에서 'PC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PC 모드를 활성화하면 YCbCr 4:4:4 / 8비트로 작동하기 때문에 PC 모니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문자 가독성이 크게 높아진다.  

 

문자 가독성도 좋지만 윈도우 11에서 자동적으로 적용되는 컬러 프로필과도 잘 맞아서 컬러의 뒤틀림은 찾아볼 수 없다.

 

고급 PC 모니터가 보여주는 섬세한 표현력은 없지만 근시에 시달리는 사용자라면 백라이트 레벨만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면 PC 모니터로도 괜찮을 것이다. 돌비 비전을 지원하는 30만원 중반대의 TV를 43인치형 모니터로 겸용한다는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다만 위와 같은 극단적인 콘트라스트가 있는 화면에서는 로컬 디밍존이 부족한 탓인지 화이트 컬러의 패턴이 블랙에 영향을 준다. 위 화면을 확대해 보면 어두운 부분에 희미한 가로줄이 보인다.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기에는 성능이 다소 부족하다. 영화 감상이나 웹 브라우저를 크게 보고자 하는 보조용 모니터로는 사용이 가능해 보인다.

 

 

화이트로 구성된 패턴이 없는 화면에서는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bx-tv 사운드

https://youtu.be/bVcEguwyf70

UA431QLED는 기존 더함 우버 AMG 시리즈보다 스피커 출력이 살짝 높아졌다. 높아진 출력과 결합한 dbx-tv 사운드 효과는 사실 좀 놀라운 수준이다. 

 

일반 스피커와 직접 비교할 수준은 아니지만 TV에서 이 정도면 웬만한 드라마나 뉴스는 충분히 즐기고도 남음이 있고, 음질에 특별한 욕심이 없는 분들이라면 영화, 음악 감상도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다. 

관심 있는 분들은 위 데모 영상을 반드시 한번 참조해 보시기 바란다.

 

마무리

주목해야 할 부분

  • 퀀텀닷 패널로 인해 컬러가 풍부하며, 이와 동시에 디폴트 컬러 튜닝이 안정적
  • HDR 영상에서 컬러 톤매핑과 계조 표현력이 우수
  • 구글 TV OS는 전체적으로 움직임이 가볍고 앱 구동 속도도 빠르다
  • 구글 AI가 개인에게 최적화된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추천해 준다
  • dbx-tv 사운드는 가성비 높은 음질을 선사한다

 

아쉬운 부분

  • 최대 밝기 상승에도 불구하고 HDR에서 피크 휘도 임팩트가 부족함
  • 시야각이 넓지 않음
  • PC 모니터로서의 사용성은 기대에 못미침

 

초보자 FAQ

홈페이지를 보니 2023년형 중에 스펙은 비슷한데 5만원 정도 저렴한 모델이 있습니다.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운영체제의 차이입니다. UA431QLED의 운영체제는 구글 TV이고, 해당 모델인 UA431UHD의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TV입니다.

 

부모님이 스트리밍 서비스는 이용하지 않고 케이블 방송만 보십니다. 굳이 스마트 TV가 필요할까요?

이제 대세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특정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이고, 부모님께 이용 방법을 알려드리는 게 바람직하겠지만, 귀찮다고 하신다면 더함의 코스모 시리즈를 추천합니다. 운영체제가 없는대신 훨씬 더 저렴합니다.

 

넷플릭스나 유튜브에서 4K 컨텐츠를 감상하기에 화질은 어떤가요?

스트리밍 서비스가 결합된 스마트 4K HDR/돌비 비전 지원 TV로서 평가하자면, 일반적인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추천할만한 제품입니다.

 

AS 정책은?

무상 2년 AS, 직접 배송, 배송 추척, 패널 실명제의 등의 서비스를 여전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디서 구매할 수 있나요?

https://brand.naver.com/theham/products/5854144325 


8
Comments
2023-01-13 21:18:21

리뷰 잘 봤습니다!!^0^
저는 같은 모델로 65인치 쓰고 있는데...
화질은 아주 조금 편차도 있고 아쉬운 면이 있지만,가격도 괜찮았고 돌비에트모스 에다가 돌비비젼까지 되는데...
게다가 QLED에 구글티비까지 지원하고~
이제 한 2주정도 사용중인데 만족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2023-01-14 06:46:59

저도 같은 씨리즈로 55인치 30만원대로 이번주에 구입했습니다.

생각보다 만족도가 높네요.

리모컨 리뷰가 추가되었음 하네요.

4대 tv 구입했는데 리모컨이 특징이 있네요.


가성비 훌륭합니다.

2023-01-16 20:18:24

가격 좋네요ㅜㅜ 저도 알았으면 막쓰는 용으로 샀을텐뎌 아쉽네요

2023-01-17 18:32:11

아직 팔아요

3
Updated at 2023-01-15 08:54:05




2021년 12월에 구입한 이스트라의 안드로이드tv를 모니터로 사용중입니다. 안드로이드 os는 11이고요. 중국의 창홍전자에서 제조한 tv죠. 운영체제가 구글tv인걸 빼고는 겉모습은 제 tv와 완전히 똑같네요. 아마 저 더함tv도 창홍에서 수입한걸로 보입니다.
중요한건 더함의 저 tv도 말로는 23년형 구글tv라고 주장하지만 os는 여전히 2022년형 안드로이드11입니다. 구글에서 작년 10월에 국내에 출시한 크롬캐스트hd도 안드로이드12를 탑재했는데 tv만 여전히 안드로이드11을 사용중이고 이걸 23년형 구글tv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운영체제만 구글tv로 바뀌었을뿐이죠. 중국업체에서 아직 안드로이드12를 탑재한 구글tv나 안드로이드tv를 만들 생각이 없는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tv의 홈화면은 이미 안드로이드11에서 바뀌었죠. -맨위 사진- 구글tv와 비슷합니다. 구글tv가 몇가지 장점이 있겠지만 안드로이드11tv와 별차이는 없어보입니다.
아직까지는 안드로이드12 os를 탑재한 '진정한' 23년형 구글tv는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2021년에 이미 안드로이드11을 탑재한 22년형 안드로이드tv가 출시됐는데도 말이죠.

2023-01-17 21:29:45

os 업데이트 해주지 않을까요?

2023-01-18 00:55:18

시간 날때마다 업데이트를 해보는데 시스템이 최신이랍니다.

2023-02-27 16:11:40

연결 단자가 다양해서 좋네요!

더함은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글쓰기
SERVER HEALTH CHECK: OK